심리학11 애착 이론 애착 이론의 등장 애착 이론(attachment theory)의 핵심 주장은 영유아가 정상적인 감정과 사회적 발달을 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주 양육자(primary caregiver)와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장기적 인간관계의 근본 원인을 설명하기도 한다. 애착 이론은 심리학, 진화학, 동물학을 아우르는 학제 간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세계적으로 많은 부랑아와 고아들이 생겨났다. 이런 부랑아와 고아들이 사회적 관계에 어려움을 겪자 UN에서는 심리분석가이자 심리치료사인 존 보울비(John Bowlby)에게 이 문제에 관하여 연구하고 문서를 작성하도록 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보울비는 애착 이론의 토대가 되는 이론을 만들었고, 이 이론은 매리 애인스워스(Mary A.. 2022. 12. 17. 고정관념 고정관념이란? 고정관념(stereotype)은 사람이 어떠한 개념 또는 관념을 가질 때,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누군가 설득을 하거나 혹은 관념에 대한 상황이 바뀔지라도 당사자가 그 생각 또는 관념을 변경하지 않는, 지나치게 일반화되고(overgeneralized) 굳어진 사고방식을 나타내는 심리학 용어이다. 어떤 집단이나 사회적 범주 구성원들에 대한 일반적이고 전형적인 특징에 관한 신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고정관념은 사회나 인간이 지니고 있는 도식(schema)에 크게 의존한다. 도식이란 어떤 대상이나 개념에 관한 조직화되고 구조화된 신념이다. 인간은 사회화를 거치며 각기 다른 문화 속에서 그들만의 신념 체계를 습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문화에 대한 확고한 통념이 뇌 속에 남게 된다. 이러한 사회화 과.. 2022. 12. 16. 인지부조화, 심리적 모순과 충돌 인지부조화란? 인지부조화란 심리학에서 자신의 행동과 태도가 모순되어 일관되지 않음으로써 서로 충돌을 일으키며 양립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즉, 개인이 받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불편한 경험들이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반대되는 믿음, 생각, 가치를 동시에 지니고 있거나, 또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것과 반대되는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가 주장한 인지부조화 이론은 사람들의 심리상태가 일관성을 보이는 것에 대해 초첨을 두고 있다. 개인은 심리적 불일치를 겪고 있을 때 불편함을 느낄 것이며, 이러한 불편한 상태를 해소하고자 불일치를 증가시키는 행동을 피하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인지부조화를 겪을 때 공격, 합리화, 고착, 체념 등의 증상을 보인다고.. 2022. 12. 16. 작업기억과 장기기억 기억에 관한 연구 기억에 관한 연구는 심리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으며 그 역사가 깊다. 기억에 관하여 최초로 체계적으로 연구를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이었다.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자신의 기념비적인 저서 'Principles of Psychology'에서 작업기억과 장기기억을 최초로 구분하였으나 일차 기억(Primary memory)과 이차 기억(secondary memory)으로 불렀다. 기억과 정보처리에 관한 지금의 연구들은 195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고 기억연구와 언어연구는 그 이후 시너지를 발휘하였다. 현대의 기억이론은 작업기억과 장기기억이라는 두 가지 중요 개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수십년간 이러한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작업기억 작업기억(w.. 2022. 12. 1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