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관념이란?
고정관념(stereotype)은 사람이 어떠한 개념 또는 관념을 가질 때,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누군가 설득을 하거나 혹은 관념에 대한 상황이 바뀔지라도 당사자가 그 생각 또는 관념을 변경하지 않는, 지나치게 일반화되고(overgeneralized) 굳어진 사고방식을 나타내는 심리학 용어이다.
어떤 집단이나 사회적 범주 구성원들에 대한 일반적이고 전형적인 특징에 관한 신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고정관념은 사회나 인간이 지니고 있는 도식(schema)에 크게 의존한다. 도식이란 어떤 대상이나 개념에 관한 조직화되고 구조화된 신념이다.
인간은 사회화를 거치며 각기 다른 문화 속에서 그들만의 신념 체계를 습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문화에 대한 확고한 통념이 뇌 속에 남게 된다. 이러한 사회화 과정에서 고정관념이 형성되게 된다. 어떤 사람의 인상을 형성하는 데 고정관념이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거기에 선입견 또는 편견을 부과하기도 한다. 그로 인하여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선입견과 편견은 고정관념에서 비롯되어 어떠한 상황을 맞이했을 때 올바른 선택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고정관념은 때로 극단적인 인종차별이나 민족 간의 분쟁 같은 여러 사회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고정관념의 원인
고정관념은 선천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후천적 학습에 의한 결과이다. 이는 학습된 사회 관념에 대한 맹목적인 동의와 동조 때문이기도 하다. 사회 관념은 고정적이고 불변하다고 느껴진다. 또한 이는 당연하고 이견의 여지가 없으며 앞으로도 계속 변하지 않을 것처럼 강요된다. 또한 교육이나 미디어는 우리에게 부자연스러운 것을 느낄 수 없도록 의미화 과정을 거치게 하며 이를 통하여 자연화되고 있다. 즉, 어떤 사회 속에서 개인은 자신도 모르게 고정관념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념을 거부하고 새로운 문화 또는 개념을 추구할 때에는 항상 크고 작은 반대와 억압, 징벌, 고통 등이 가해진다. 사회적인 통념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서는 감수해야 할 것들이 많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고정관념으로 인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나 제안들이 빛을 보지 못하는 일들도 생기게 된다.
일상속의 고정관념
고정관념의 대표적인 예로 동성애자를 들 수 있다. 2006년 11월에 국제 인권법에 관한 욕야카르타 원칙(욕야카르타에서 발표된 성적 지향과 성정체성에 관한 인권선언)에서 동성애자에 관한 고정관념은 편견과 차별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국가와 사회에 그 철저한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혈액형 성격 설이 있다. 혈액형과 특정 성격을 매치시키는 차별적 요소가 다분히 포함된 것으로 일본과 대한민국 이외의 나라에서는 이러한 고정관념은 보이지 않으며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가설일 뿐이다.
인종과 국적, 피부색 등도 대표적인 고정관념의 사례이다. 가령 욕심이 많은 유대인, 비열하고 더러운 중국인, 바보 같은 영국인, 게으른 흑인 등 특정 국적과 인종에 대한 고정적 관념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아시아인은 수학을 잘할 것이라는 것, 흑인은 운동능력이 좋고 랩을 잘할 것이라는 고정관념도 있다. 남자가 먼저 고백해야 하고, 여자는 남자보다 약하다는 고정관념 또한 대표적 사례 중 하나이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우리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으며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정관념으로 인하여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가령 범죄 현장에서 크기가 큰 발자국으로 인하여 범인이 남자일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여자인 범인을 놓치게 되는 경우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이다. 이러한 고정관념을 탈피하려는 노력으로 편견과 차별로부터 거리가 먼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고정관념으로부터의 탈피는 창의, 혁신과 맞닿아 있다. 애플의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의 사례가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새로움을 추구한 예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가 모든 컴퓨터의 기본이 된 시절에 컴퓨터에는 윈도우를 사용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으로부터 탈피하여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였다. 그 과정에서 많은 실패와 좌절을 겪으며 고통의 시간을 인고한 끝에 혁신의 아이콘인 애플의 매킨토시가 개발되었다. 이렇게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은 종종 거대한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착 이론 (0) | 2022.12.17 |
---|---|
인지부조화, 심리적 모순과 충돌 (1) | 2022.12.16 |
작업기억과 장기기억 (0) | 2022.12.15 |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0) | 2022.12.13 |
무의식, 기억의 저편 미지의 영역 (0) | 2022.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