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by J슨 2022. 12. 13.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란?

오이디푸스 컴플렉스(Oedipus complex)는 정신분석학의 대가 지크문트 프로이트가 주장한 개념이다. 남근기(대개 3~5세의 시기를 말하며 남녀의 구별이 없다)에 생기기 시작하는 무의식 속의 갈등이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남녀 모두에게 적용되는 개념이다. 정신 발달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신경증의 발병 단계이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는 어머니를 소유하려는 것과 아버지에 대한 강한 반항심을 동시에 품고 있는 앰비밸런스(전혀 다른 심리 상태가 마음속에 공존하는 것)적인 심리를 스스로 받아들이는 상황을 말한다. 프로이트는 이 심리상태 속에서 볼 수 있는 어머니에 대한 근친상간적인 욕망을 그리스 비극의 하나 오이디푸스왕에게 빗대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라고 불렀다.

그리스 비극 '오이디푸스'는 오이디푸스 자신은 몰랐다고 하지만, 아버지인 왕을 죽이고 자신의 어머니와 결혼했다는 이야기이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남자 아이의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남자 아이는 어머니를 얻기 위해 아버지와 동등한 위치를 쟁취하려고 한다. 남자 아이에게 어머니는 이성이며 사랑을 할 수 있는 대상이다. 아이는 아버지와의 동일화가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아버지와 같은 남자가 되려는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곧 아버지를 배제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아이에게 아버지는 절대적이며 무서움을 느끼는  존재로 인식한다. 처음에는 불안감과 증오를 품고 있지 않지만 아이가 어머니에게 붙어 있으면 아버지의 존재가 자신을 위협하는 것으로 느껴진다. 그것은 마치 아버지가 아이에게 '너의 성기를 거세할 거야'라고 외치는 것과 같은 위협감이다. 대부분의 아이는 무의식적으로 이러한 위협감을 거세 불안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렇게 아이의 딜레마는 시작된다. 아이가 함께하는 어머니를 선택하면 '음경이 거세될 거다'라는 불안함과 위협감을 느끼게 되며, 아버지와 함께하는 어머니를 선택한다면, 아이는 '성기가 거세되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 어느 쪽이든 성기를 유지하기 위해 갈등에 빠지게 된다.

 이때 아이는 자기 성기를 유지하기 위해 근친상간하려는 욕망과 아버지와의 충돌을 포기하고, 부모와 다른 방향의 길을 걷는 것을 선택한다. 이렇게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는 극복되고, 아이는 성기를 유지하면서 사회 속으로 진출하게 된다. 이러한 시기를 잠복기라고 한다. 유아적인 성적 욕망이 의식화되어 표현되는 것을 억제하고 대부분 표출하지 않게 된다.   

 아이는 이 갈등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부모를 버리는 것이지만, 아이는 아버지와 투쟁하기 위하여 '동일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강한 남성적인 면과 아버지와의 갈등은 안된다라는 금지 사례를 초자아로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초자아는 양심과 윤리감으로 인식되며, 잠복기 이후에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는 심리로 작용한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의 이러한 욕망은 무의식적으로 억압되어 버려진다. 그때부턴 막연했던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가 분명하게 형성되기 시작한다. 아이의 자아가 파생 분화되며 현실적인 자아를 형성한다. 또한 동일화된 부분과 금지 사항이 합쳐져 초자아를 구성한다. 프로이트는 의식, 무의식, 초자아 이렇게 세 가지 정신 구조가 만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여자 아이의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여자아이는 남성의 성기가 없기 때문에 남자아이와 다른 발전과정을 겪는다. 여자아이도 남자아이처럼 처음에는 어머니의 무한한 사랑을 받는다. 여자아이가 성장하면서 다른 여자아이를 보고 여성은 남성의 돌출된 성기가 없다는 것을 서서히 인식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아직은 '어른이 되면 나도 남성의 성기처럼 돌출될 거야'라고 믿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어머니에게 돌출된 성기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막연한 예감은 확신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아이는 주위의 여성이 돌출된 성기가 없는 열등한 존재이며, 이미 거세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여자아이는 돌출된 성기가 없음으로 인한 열등감과 거세불안에 집착한다. 그리고 어머니에게 돌출된 성기를 만들어주지 않았음에 대한 분노를 조준한다. 

 이때 아이는 세 가지 방법으로 이 컴플렉스를 해결한다. 

첫 번째는 '돌출된 성기가 없음'을 강하게 인지하고 받아들인다. 이것은 열등감을 가진 여성으로 만들다. 이 경우 무기력한 인간으로 되어버린다. 

두 번째는 자기 성기가 언제 돌출되나 기다리며, 자신은 남자라고 믿고, 남성적인 성격을 갖춘다. 

세 번째는 돌출된 성기라는 대상에 대한 동경으로 "돌출된 성기는 곧 아이 자신"이라는 상징으로 생각하고 손에 넣는 길을 선택한다.  이 방향으로 나아가면 아이는 그때까지 돌출된 성기처럼 취급하고 있던 클리토리스로부터 질로 관심이 옮겨가 남자와 성교하여 아이를 얻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이때 남자아이를 얻는 방법이 바로 돌출된 성기를 얻는 방법이다.) 여자아이는 이 과정을 계기로 하여 애정의 대상을 어머니에서 아버지로 변경한다. 어머니는 미움의 대상, 아버지는 사랑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자신에게 돌출된 성기가 없다는 것으로 아버지와의 동일화는 일어나지 않으며 이렇게 여자아이의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는 발생한다. 

 그러나 이 주장은 프로이트가 비판받는 부분이다. 그 이유는 실제로 이러한 심리가 여자아이에게 존재하지 않으며, 돌출된 성기의 부재가 열등감을 만들지 않고 단순히 성별을 구분함의 의미를 가질뿐이라고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클리토리스는 돌출되지 않고 눈에 두드러지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돌출된 성기로 취급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여자아이에 대한 부분은 새로운 해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댓글